[수학] 반원과 사분원의 내부 및 그 호의 질량중심
안녕하세요 수학올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원 및 원 호의 질량중심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별도의 밀도함수가 없다고 가정하고, 원의 질량중심과 원 호의 질량중심은 주로 회전체의 부피나
회전체의 겉넓이를 구할 때 파푸스의 정리와 함께 이용됩니다.
일반적인 시험에서는 잘 이용되지 않고, 편입 수학과 같이 시간 제한이 타이트한 경우 주로 이용하구요.
결론적으로 반구의 부피 및 반구면의 겉넓이를 구할 때 이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원 및 사분원인 경우만 다루며, 그 일부분이 정확히 제 1, 2, 3, 4사분면의
한 영역 또는 두 영역에만 포함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반원과 사분원 내부의 질량중심
우선 완벽한 원의 질량중심은 당연하게도 원의 중심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반원의 질량중심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보통 질량중심을 구할 때 이중적분을 이용하여 질량중심 공식을 이용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 구할 모든 질량중심은 이중적분을 이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 한 것처럼 질량중심을 구한 뒤 파푸스의 정리를 통해 회전체의 부피 및 겉넓이를 구한다고 했는데
원의 일부분을 회전시키면 구가 되고, 우리는 구의 부피 및 겉넓이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파푸스의 정리를 역으로 적용하여 질량중심을 뽑아낼 수 있는 것이죠.
그럼 가장 간단한 경우인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의 상반원인
의 질량중심을 구해보겠습니다. 우선 이 도형은
그러면
이때 이 상반원을
이 됨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피
라고 쓸 수 있고, 식을 정리하면
임을 바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제 대칭성을 이용하면 상반원이 아닌 하반원의 경우 부호만 바꿔주면 되고
원을 위 아래가 아닌 좌 우를 기준으로 절반을 나눈 경우 질량중심의
오른쪽의 경우 부호가 +, 왼쪽의 경우 부호가 -가 될 것이구요.
만약 중심이 원점이 아니라면? 그만큼 평행이동을 해줬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반원이 아닌 사분원의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중심이 원점, 반지름이
예시로
을 들어볼게요.
이 경우는 별도의 대칭성이 없으므로 질량중심의 좌표를
위와 비슷한 과정을 이용할 것인데, 이 영역을
이 구의 부피
임을 알고 있습니다.
이제 이를 파푸스의 정리를 통해 구했다고 생각하면
라고 쓸 수 있습니다. 뒤의 등식이 성립하는 이유는
부피가 같은 반구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를 풀어서 쓰면
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사분원의 경우도 해당 사분원이 어떤 사분면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부호만 적절히 결정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위에서 얻은 반원 및 사분원 내부의 질량중심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반원과 사분원의 호의 선질량중심
그렇다면 이번에는 반원 또는 사분원의 내부가 아닌 그 원 호의 질량중심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그 방식은 아주 비슷한데 단순히 구의 부피가 아닌 구의 회전체의 겉넓이에 대해 완전히 같은 논리를 적용합니다.
마찬가지로 중심이 원점이고, 반지름이
의 상반원의 원 호인
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이전과 동일하게
이 도형을
임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이를 파푸스의 정리를 통해 구했다고 생각해보면
에서 식을 정리하면
임을 얻습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위가 아닌 아래라면 부호가 -, 상 하가 아닌 좌 우로 나뉜 경우
구한
그럼 사분원의 호는 어떻게 될까요? 사분원의 내부를 구할 때 처럼 선질량중심의 좌표를
이제 반원의 호의 질량중심을 구한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한 뒤 반구의 겉넓이를 이용하면 되고,
이미 동일한 논리를 이용하는 과정을 여러번 반복했으니 과정을 생각하고 결론만 적으면
임을 얻습니다.
사분원의 내부의 질량중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분면의 위치에 따라 부호만 적당히 조절해주면 되고요.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오류, 오타 또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수학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 구의 일부분의 겉넓이 공식 (0) | 2024.05.02 |
---|---|
[수학] 타원의 질량중심 (1) | 2024.04.02 |
[수학] 심프슨 공식을 이용하여 다항함수의 적분값 빠르게 구하기 (0) | 2024.02.29 |
[수학] 고등학생을 위한 코시 함수방정식 개념 정리 (0) | 2024.02.24 |
[수학] 평균값 정리의 응용과 세타의 극한을 구하는 문제 (1/2) (2) | 2024.02.21 |